2020년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올해의 마지막 데이터 자격시험을 준비할 기회는 아직 있습니다.

 

 

DAP는 국가공인자격시험으로,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DAP, Data Architecture Professional)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이라 하겠습니다.

DAP는 효과적인 데이터아키텍처 구축을 위해 전사아키텍처와 데이터품질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요건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합니다.

 

과목 및 내용은 총 6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사아키텍처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 요건 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 데이터 품질 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을

검정합니다.

 

필기와 실기가 있으며, 합격률이 5~10% 정도라 할만큼 높은 난이도를 자랑합니다.

합격기준은 총점 100점 기준 75점 이상 취득하셔야 하며, 과목별 40% 미만은 과락으로 봅니다.

 

필기 과목은 첨부파일 참고하시면 됩니다.

 

DAP필기과목.xlsx
0.01MB

 

실기는 실제 설계를 하게되며, 아래 3가지 영역을 다루게 됩니다.

- 논리 데이터 모델

- 표준화 정의서

- 데이터표준화 기본원칙, 표준용어, 표준코드, 표준 도메인

 

DAP는 응시 자격이 있습니다.

필기시험일 기준 시험일 이전에 응시자격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응시자격학력/경력 기준자격기준

  • 박사학위 취득한 자
  • 석사학위 취득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 학사학위 취득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 전문대학 졸업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6년 이상인 자
  • 고등학교 졸업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9년 이상인 자
  • 국가기술자격 중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자
  • 국가기술자격 중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 국가기술자격 중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정보처리분야의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 학사학위 취득자 중 해외 데이터베이스관련 자격을 취득한 자
  •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자격을 취득한 자

 

응시자격도 까다롭고, 실기로 설계에 대한 실무를 평가하며, 합격률도 낮다보니

자격을 획득한 이후에는 실무에 대해 꽤 인정을 받는 자격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DAsP는 민간자격시험으로,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Data Architecture Semi-Professional) 자격을 부여하는 시험이라 하겠습니다.

DAsP란 효과적인 데이터아키텍처 구축을 위해

데이터 요건 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합니다.

 

과목 및 내용은 총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사아키텍처 이해 과목을 바탕으로

데이터 요건 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는 능력을 검정합니다.

 

필기시험으로 자격이 부여되며,

합격기준은 총점 60점 이상, 과목별 40% 미만 과락으로

난이도 중급 정도로 수험생들이 평하는 편입니다.

 

필기 과목은 첨부파일 참고하시면 됩니다.

 

DAsP필기과목.xlsx
0.01MB

 

DAsP는 별도의 응시 자격도 없으니 누구나 응시가 가능한데요.

2020년 마지막 시험을 아래와 같이 접수하고 있으니,

데이터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접근성 좋은 DAsP부터 준비해보시는것 어떠신가요?

 

저도 이번에 응시합니다~!

하기 일정 참고하세요^^

 

 

코엑스에서 이번에도 어김없이 AI Tech 컨퍼런스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참석할때 마다 얻어지는 것들이 있어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좋은 시간이 아닐 수 없는데요.

사실 이렇게 각계의 시도들, 전문가들, 실무자들이 모인 오프라인 장을 갖기란 쉬운일이 아니므로..

 

하지만, 참가 가격이 부담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국내 AI를 선도하며, 많은 수익을 거두고 있는 IT기업들(카카오, 네이버 등등)이 자발적으로

후배 양성, 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인재 양성, 생태계 구축, 네트워크 구축 등을 위하여

행사 개최비를 지원한다면 입장료를 대폭 줄일 수 있을텐데.. 라는 아쉬운 마음이 생깁니다.

대기업이 사회 환원을 위하여 사회적 활동들을 이어가고 있다면,

선두의 IT기업은 국가의 IT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에 환원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참석을 원하는 사람은 사전등록을 이요하여 조금이라도 저렴한 가격에 참석해보길 바래요~

 

 

 

인공지능(AI)은 당장 내일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처럼 보여집니다.
하지만 현실은, AI가 말하는 혁신적 미래를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시대는 급변하는 것 같아 기업은 늘 불안합니다. 지금 AI를 도입해야 할까요?

이번 컨퍼런스는 기업에게 현실적 AI를 제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실제 우리 회사에서 AI가 꼭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부분을 도입해야 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해볼수 있습니다. 

거창한 AI보다 우리 회사에 꼭 필요한 AI가 무엇인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AI가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해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시작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하다. 

진짜 설명서 같은게 있으면 좋겠다.” 물류에 AI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 대표가 실제 한 말입니다.

이번 컨퍼런스는 이 ‘고민의 해결’을 담고 있습니다.

 

세미나 개요

■ 일 시 : 2020. 10. 29(목) 10:00~17:00

■ 장 소 : 코엑스 컨퍼런스홀 3층 E5

■ 주 최 : ㈜첨단, 헬로티, 서울메쎄인터내셔널

■ 후 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공지능협회, 인공지능신문

■ 주 제 : “우리 회사에는 AI가 꼭 필요할까?”

■ 행사규모 : 각 산업의 AI 관련 산·학·연 관계자 및 개발자 100여명

 

사전 등록하러 가기!

'공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학습 블로그 시작!  (0) 2020.10.10

빅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가능 먼저 했던 것이 ADsP 시험 준비였어요.

 

나름 공학도라 통계에 대한 기초 지식은 있었어요.

하지만 사실 학부수업 중 확률과 통계, 대수학 등이 점수를 제일 깎아 먹어요.

그만큼 통계는 어렵게 느껴지고 잘 못한답니다~

제가 빅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쪽으로 지속적으로 공부할 줄 알았더라면 더욱 신경써서 공부했을텐데...ㅠ_ㅠ

 

다시 돌아와서!!

ADsP가 참 공부하기가 난해 하더라고요~

아니! 빅데이터는 전반적으로 그런것 같아요.

그래서 공부를 하면서도 마음 한켠이 답답했는데 끝나고 보니 좀 감이 오더라고요^^;;;;;;

 

저는 많은 시간을 투여하지는 않았어요.

저녁에 2시간 정도를 일주일에 4~5일씩 한달 정도 했어요.

학습방법은 그냥 읽고 온라인 강의 듣는것으로 끝!

책이 두꺼워서 읽는데도 시간이 꽤 걸리더라고요~

 

데이터진흥원 교재 1독
데이터에듀 요약 교재 1독
데이터에듀 ADsP 합격 준전문가 패키지 강의 2배속으로 1회 

 

데이터에듀는 가입할까말까 엄청 고민했는데

합격하면 환불해주는 프로그램이 운영중이어서

떨어지고 다시 공부해서 시간 낭비할바엔 가입해서 환불 받는게 현명하겠다 싶었어요.

그런데 지금 돌이켜보면, 사실.... 기본서 보고 기출 풀면 되는것 같아요.ㅎㅎㅎㅎ

저처럼 뭔가 심적으로 기댈곳이 필요하신 분들!!

혼자 공부하기 싫고, 돈 들여서라도 시험 정보를 조금 더 얻고 싶은 분들!!

이런분들은 등록해서 온라인 강의 들으시고 요약 교재 받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카페나 블로그에 시험 복기 구하실 수 있으시면 꼭 구해서 보세요~

제 시험 회차에는 난이도가 헬이어서 그런지,

제가 느끼기에 문제 은행식은 아닌것 같았지만 공부의 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되더라고요.

(왜냐하면, 기출문제 공부한 문제 하나도 안나왔어요.

그래서 그것만 공부하신듯한 분들... 절반 정도는 30분도 안되어서 퇴실 하셨고요.

물론 그분들 답지 제출하는데 주관식 빈칸으로 텅텅이더라고요~)

 

정리하자면,

다른분들의 카페나 블로그의 시험 복기 문제, 데이터에듀 기출문제 정리는 공부 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되고

데이터에듀 강의는 기초부터 데이터마이닝까지의 전체 내용 중 집중할 부분과

스킵할 부분이나 가볍게 공부할 부분에 대한 틀을 잡기 좋았어요.

 

그렇게 공부한 끝에!!

이렇게 넉넉한 성적으로 한번에 합격 했답니다.

 

별거 없는 제 후기가 도움되셨길 바라며! 화이팅 하세요~!!

+ Recent posts